함수

2018년 4월 30일
Coding The Matrix Reboot

Coding The Matrix를 보다보면 후반부에 갈수록 앞서 본 용어들에 대해서 잊어버려 찾는 것을 반복하게 되어 정리해보며 읽어나가고자 한다.

집합(Set)

수학 객체를 모아 놓은 것으로, 집합에 속하는 각 객체는 많아야 한 번 그 집합에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한다. 집합은 원소들 사이에 순서가 없으므로 집합 내 원소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집합의 포함 관계는 위와 같이 나타내며, 두 집합이 같다는 것은 다음 두 단계를 사용하여 증명한다.

  1. 첫 번째 집합이 두 번째 집합에 포함됨을 증명한다.
  2. 두 번째 집합이 첫 번째 집합에 포함됨을 증명한다.

집합 S가 유한집합이면, |S|를 사용하여 집합의 크기(원소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

카테시안 곱(Cartesian product)

두 집합 AB의 카테시안 곱(데카르트 곱)은 a ∈ Ab ∈ B 의 모든 쌍 (a, b)으로 이루어진 집합이다.

Ref

함수(Function)

Ref

비공식

가능한 입력 집합 D의 각 원소에 대해 가능한 출력을 할당하는 규칙이다.

  • 출력 : 함수에 의한 입력의 상(image), 함수값
  • 입력 : 출력의 원상(pre-image)
  • 정의역 : 가능한 입력 집합
  • 공역 : 함수값이 선택되는 집합, 모든 원소가 함수값이 되어야하는 것은 아님
  • 치역 : 모든 정의역 원소들에 대한 함수값들의 집합, 공역의 원소들 중 실제로 함수값이 되는 공역 원소들의 집합

공식

(a, b)들의 집합(무한 집합도 가능)이다.

정의역 {1, 2, 3,...} × {1, 2, 3,...}을 가지는 곱셈 함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매핑

함수 f에 대해, f에 의한 q의 상을 f(a)로 나타낼때,

이면, qf에 의해 r로 매핑된다고 한다. (q ↦ r)

D에서 F로의 함수 or DF로 매핑하는 함수

  • f : 함수
  • 집합 D : 정의역
  • 집합 F : 공역

주어진 정의역과 공역을 가지는 함수들의 집합에 대한 표기법

집합 DF에 대해, D에서 F로의 모든 함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Fact 1.3.9

임의의 유한 집합 DF에 대해,

Ref

항등함수

임의의 정의역 D에 대해, 아래를 만족하면 함등함수라 한다.

모든 d ∈ D 에 대해, 항등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ef

함수의 합성

두 개의 함수를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함수를 얻는 것이다.

위와 같이 주어진 함수 fg에 대해,

합성 함수 g∘f는 정의역 A, 공역 C인 함수가 된다.(반드시, 함수 f의 치역이 함수 g의 정의역에 포함되어야 한다.)

Ref

함수 합성의 결합법칙

함수를 합성할 때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Proposition 1.3.12

Ref

  • Ch1 - 6p

단사함수, 전사함수(Definition 1.3.14)

  • 단사함수

단사함수

함수 f : D ⟶ F 일때, 모든 x, y ∈ D에 대해, f(x) = f(y)x = y이면 단사함수이다.

  • 전사함수

전사함수

함수 f : D ⟶ F 일때, 모든 z ∈ F에 대해, f(x) = z를 만족하는 x ∈ D가 존재하면 전사함수이다.

Ref

역함수(Definition 1.3.13)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면 함수 fg는 서로의 역함수이다.

  • g∘f가 정의되고, g의 정의역에 대해 항등함수이다.
  • f∘g가 정의되고, f의 정의역에 대해 항등함수이다.

모든 함수가 역함수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역함수를 가지는 함수를 가역적이라고 한다.

  • 가역함수는 단사함수이다. (Lemma 1.3.16)
  • 가역함수는 전사함수이다. (Lemma 1.3.17)
  • 함수가 가역적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그 함수가 단사함수이며 동시에 전사함수인 경우이다.(전단사함수, Theorem 1.3.18)
  • 모든 함수는 많아야 하나의 역함수를 가진다. (Lemma 1.3.19)

Ref

가역함수를 합성한 함수의 가역성(Lemma 1.3.20)

만약 fg가 가역함수이고 f∘g가 존재하면, f∘g는 가역함수이고,

이다.

Ref

  • Ch1 - 9p

프로시저(Procedure)

입력(매개변수)을 받아들여 출력(리턴값)을 생산하는 계산 절차에 대한 정확한 기술이다.

def mul(p, q): return p*q

Ref

계산 문제(Computational problem)

프로시저가 필요할 수도 있는 입력-출력에 대한 사양(스펙)(input-output specification)이다.

- input: 1보다 큰 정수의 쌍 (p, q)
- output: 곱 pq

Ref

  • Ch1 - 4p

프로시저, 계산 문제, 함수의 연관 관계

  • 프로시저와는 달리, 함수 또는 계산 문제는 입력을 사용하여 출력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
    • 동일한 입출력 사양을 만족하거나 동일한 함수를 구현하는 많은 다른 프로시저가 존재한다.
  • 때로는 동일한 프로시저가 다른 함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함수와는 달리, 계산 문제는 모든 입력에 대해 하나의 유일한 출력을 명시할 필요는 없다.
  • 함수와 계산 문제는 다르게 정의되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다.
  • 정의역 각 원소에 대해 프로시저를 적용하여 출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원상 문제를 풀면 비용이 클 수 있지만, 모든 함수에 적용 가능한 더 나은 방법은 없다.
  • 원상 문제를 임의의 함수가 아니라 특정 종류의 함수에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원상 문제를 풀기위한 빠른 프로시저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되지 않을 수 있다.
  • 계산산의 어려움과 가능성 사이에서 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 선형 함수들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모델링하고 이 함수들을 사용하여 원상 문제를 풀 수 있다.

확률

확률이론

무엇이 일어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Ref

확률분포

유한한 정의역 𝛀에서 음수가 아닌 실수의 집합 R+로의 함수 Pr(⋅)는 만약

이면 (이산) 확률분포이다.

  • 정의역 : 실험결과(outcome)
  • 치역 : 실험결과의 확률

확률은 실험결과의 상대적인 가능도(relative likelihoods)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 확률은 가능도의 수학적 개념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한다.

가능도(likelihood) : 상식적인 개념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

  • 균등(uniform)분포 :모든 실험결과가 동일한 가능성을 가지며 동일한 확률이 할당되는 경우이다.
  • 비균등분포 : 서로 다른 실험결과가 서로 상이한 확률을 가지는 경우이다.

Ref

사건과 확률의 합(Priciple 1.4.5 확률이론의 기본 원칙)

어떤 사건에 대한 확률은 그 사건을 구성하는 실험 결과들에 대한 확률의 합이다.

Ref

  • Ch1 - 12p

랜덤 입력에 함수 적용

  • 함수가 가역함수이면 확률이 보존된다.
  • 다양한 출력에 대한 확률은 입력에 대한 확률과 매칭된다.
  • 입력이 균등분포에 따라 선택되면, 출력의 분포도 또한 균등분포가된다.

Ref

  • Ch1 - 12~13p
Recently posts
© 2016-2023 smilecat.dev